DB(3)
-
Isolation level
필요성 격리 수준은 트랜잭션의 ACID 특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Locking 을 통해 이를 해결할 수 있지만, 무조건적인 Locking 은 성능저하를 가져온다. 반대로 느슨한 Locking 은 데이터 무결성에 큰 문제를 가져온다. 효율적인 Locking 의 사용을 위해 적절한 격리수준은 반드시 필요하다. 표준 이상현상 1. Dirty read 커밋되지 않은 변화를 읽었을때 나오는 현상 2. Non-repeatable read(Fuzzy read) 같은 데이터의 값이 달라지는 현상 다른 트랜잭션이 커밋한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한 트랜잭션에서 같은 쿼리로 2번이상 조회했을 때 그 결과가 상이한 상황을 말한다. 보통 데이터의 수정/삭제가 발생했을 경우 발생한다. 3. Phan..
2023.08.21 -
데이터베이스 생성, 확인, 삭제
1) 테이블 생성하기 콘솔에서 mysql 프롬프트 접속 - CREATE SCHEMA nodejs; 로 nodejs 데이터베이스 생성 - use nodejs; 로 생성한 데이터베이스 선택 mysql> CREATE SCHEMA nodejs DEFAULT CHARACTER SET utf8; Query OK, 1 row affected, 1 warning (0.00 sec) mysql> use nodejs; Database changed show databases; - show databases; 로 데이터베이스들을 볼 수 있다. 2) 테이블 생성 확인하기 - DESC 테이블명; DESC users; 3) 테이블 삭제하기 - DROP TABLE 테이블명 DROP TABLE users;
2023.04.10 -
데이터베이스 [node.js 교과서]
본 게시글은 node.js 교과서 강의를 듣고 정리한 글입니다. 데이터베이스란? 서버 메모리에 저장하면 서버를 재시작하면 데이터도 사라진다. 영구적 저장공간이 필요하다. 데이터베이스 : 관련성을 가지며 중복이 없는 데이터들의 집합 DBMS :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시스템 RDBMS :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하는 시스템 서버의 하드디스크나 SSD 등의 저장매체에 데이터를 저장 서버 종료 여부와 상관없이 데이터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 여러 사람이 동시에 접근할 수 있고 권한을 따로 줄수있다. 데이터가 규칙 정형화 서로 관계가 있다 sql 데이터가 정형화 되있지않고 관계도 없고 수집하는데 목적이있으면 nosql
2023.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