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lation level
필요성 격리 수준은 트랜잭션의 ACID 특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Locking 을 통해 이를 해결할 수 있지만, 무조건적인 Locking 은 성능저하를 가져온다. 반대로 느슨한 Locking 은 데이터 무결성에 큰 문제를 가져온다. 효율적인 Locking 의 사용을 위해 적절한 격리수준은 반드시 필요하다. 표준 이상현상 1. Dirty read 커밋되지 않은 변화를 읽었을때 나오는 현상 2. Non-repeatable read(Fuzzy read) 같은 데이터의 값이 달라지는 현상 다른 트랜잭션이 커밋한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한 트랜잭션에서 같은 쿼리로 2번이상 조회했을 때 그 결과가 상이한 상황을 말한다. 보통 데이터의 수정/삭제가 발생했을 경우 발생한다. 3. Phan..
2023.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