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러 해결(3)
-
Unable to connect to server: connection to server at "localhost" (::1), port 5432 failed: FATAL: role "postgres" does not exist
pgAdmin 에서 서버를 생성하는데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여 생성이 불가하게됨 Unable to connect to server: connection to server at "localhost" (::1), port 5432 failed: FATAL: role "postgres" does not exist 터미널에서 확인을 위해 psql 을 입력하였으나 아래와 같은 에러 발생 psql: error: connection to server on socket "/tmp/.s.PGSQL.5432" failed: FATAL: database "yunmun-yeol" does not exist SOLVE psql -U postgres 유저가 없어서 그런거였음.. 허무함 참고링크 http://daplus.net..
2023.08.01 -
Homebrew postgreSQL 오류 postgresql@14 error 512 yunmun-yeol ~/Library/LaunchAgents/homebrew.mxcl.postgresql@14.plist
Home brew 로 postgreSQL 을 다운 받았으나 실행시 오류가 발생하였다. Name Status User File emacs none mongodb-community none mysql started yunmun-yeol ~/Library/LaunchAgents/homebrew.mxcl.mysql.plist postgresql@14 error 512 yunmun-yeol ~/Library/LaunchAgents/homebrew.mxcl.postgresql@14.plist unbound none 다른 데이터베이스와 충돌인가 싶어 다른 데이터 베이스를 모두 종료하고 실행해보았으나 역시 변하지 않았음 SOLVE 재설치 진행 brew services stop postgresql@14 brew unin..
2023.08.01 -
CodeDeploy 를 사용한 자동 배포 오류
Script at specified location: scripts/before-deploy.sh run as user ubuntu failed with exit code 1 첫번째 문제는 repository 명을 잘못 입력했었다. #!/bin/bash REPOSITORY=/home/ubuntu/mini-BE # 여기에서 mini_BE 로 잘못 적혀있었다. cd $REPOSITORY sudo npm ci npm start 그렇기 때문에 우분투 환경에서 mini_BE 와 mini-BE 두 폴더가 생성되었었다. 두 폴더를 모두 삭제해 주었고 코드 수정후 다시 클론하여 폴더를 가져왔다. appspec.yml 파일이다. version: 0.0 os: linux files: - source: / destinati..
2023.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