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분해할당(2)
-
ES6 문법 [ Javascript ] [ JavaScript 문법 종합반 2주차 ]
// ES6 // 2015년도 이전 var // 1 let(변수), const(상수) // 2 arrow function // 3 구조분해할당 destructure // 3-1 배열의 경우 let [value1, value2] = [1, "new"]; console.log(value1); // 1 console.log(value2); // new let arr = ["value1", "value2", "value3"]; let [a, b, c, d = 1] = arr; console.log(a); // value1 console.log(b); // value2 console.log(c); // value3 console.log(d); // 초기값을 세팅 안하면 undefined 세팅하면 초기값 // 4 ..
2023.06.13 -
구조분해할당
const ex = {a : 123, b: {c:456, d: 789}}; const a = ex.a; const d = ex.b.d; const {a, b:{d}} = ex; // 객체는 키가 일치해야한다. const arr = [1, 2, 3, 4, 5]; const x = arr[0]; const y = arr[1]; const z = arr[4]; const [x,y, , ,z] = arr; // 배열은 자릿수를 맞춰주면 된다. 주의점 - this 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 구조분해할당을 사용하면 문제가 생긴다. - this 는 함수를 호출할 때 어떻게 호출 되었냐에 따라 결정되기 떄문 - this 가 있는 경우는 구조분해할당을 안하는게 좋다.
2023.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