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와 UDP

2023. 8. 9. 16:44브라우저&네트워크

TCP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메시지의 형태로 보내기 위해 IP 와 함께 사용하는 프로토콜

 

특징

 

- 연결 지향 방식으로 패킷 교환 방식을 사용한다.(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논리적 경로로 배정)

- 3-way handshaking 과정을 통해 연결을 설정하고 4-way handshaking 을 통해 해제한다. (정확한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세션을 수립하는 과정)

- 흐름 제어 및 혼잡 제어

- 높은 신뢰성을 보장한다.

- UDP 보다 속도가 느리다.

- 전이중, 점대점 방식이다.

 

TCP 는 연결형 서비스로 신뢰성을 보장한다. 하지만 이러한 기능들 때문에 UDP 보다 속도가 느리다.(CPU 를 사용하기 때문에 속도에 영향을 준다.)

 

TCP 는 연속성보다 신뢰성 있는 전송이 중요할 때에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TCP 서버 특징

- 서버소켓은 연결만을 담당한다.

- 연결과정에서 반환된 클라이언트 소켓은 데이터의 송수신에 사용된다.

-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1대1로 연결된다.

- 스트림 전송으로 전송 데이터의 크기가 무제한이다.

- 패킷에 대한 응답을 해야하기 때문에 성능이 낮다.

- 스트리밍 서비스에 불리하다. (손실되면 재전송을 요청하기 때문)

 


UDP

 

데이터를 데이터그램 단위로 처리하는 프로토콜

 

특징

 

- 비연결형 서비스로 데이터그램 방식을 제공한다.

- 정보를 주고 받을 때 정보를 보내거나 받는다는 신호 절차를 거치지 않는다.

- UDP 헤더의 체크섬 필드를 통해 최소한의 오류만 검출한다.

- 신뢰성이 낮다.

- TCP 보다 속도가 빠르다.

 

비연결형 서비스 이기 때문에 연결을 설정하고 해제하는 과정이 존재하지 않는다.

패킷에 순서를 부여하여 재조립하거나, 흐름제어, 혼잡제어 같은 기능을 하지 않기에 속도가 빠르며 네트워크 부하가 적다.

때문에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지 않는다.

신뢰성 보다는 연속성이 중요한 서비스에 자주 사용된다.

 

UDP 서버 특징

- UDP 에는 연결 자체가 없어서(connect 함수 불필요) 서버 소켓과 클라이언트 소켓의 구분이 없다.

- 소켓 대신 IP 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1대1, 1대N, N대M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 데이터그램(메시지) 단위로 전송되며 그 크기는 65535 바이트로 크기가 초과하면 잘라서 보낸다.

- 흐름제어가 없어서 패킷이 제대로 전송되었는지, 오류가 없는지 확인할 수 없다.

- 파일 전송과 같은 신뢰성이 필요한 서비스보다 성능이 중요시 되는 경우에 사용된다.

 

* 흐름제어 : 데이터를 송신하는 곳과 수신하는 곳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조절하여 수신자의 버퍼 오버플로우를 방지하는 것

* 혼잡제어 : 네트워크 내의 패킷 수가 넘치게 증가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

 


참고 링크

 

https://mangkyu.tistory.com/15

 

[TCP/UDP] TCP와 UDP의 특징과 차이

오늘은 네트워크의 계층들 중 전송 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전송계층은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으로, 쉽게 말해 데이터의

mangkyu.tistory.com

https://dev-coco.tistory.com/144

 

TCP와 UDP의 특징 및 차이점 알아보기

TCP와 UDP는 OSI 7 계층들 중 TCP/IP의 전송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 전송 계층은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이다. 즉, 데이터의 전달을 담당하며 전달되는

dev-coco.tistory.com

https://velog.io/@hidaehyunlee/TCP-%EC%99%80-UDP-%EC%9D%98-%EC%B0%A8%EC%9D%B4

 

TCP 와 UDP 차이를 자세히 알아보자

TCP와 UDP는 TCP/IP의 전송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전송계층은 IP에 의해 전달되는 패킷의 오류를 검사하고 재전송 요구 등의 제어를 담당하는 계층이다.

velog.io

 

'브라우저&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I 7 Layer  (0) 2023.08.21
HTTP 와 HTTPS 차이점  (0) 2023.08.10
쿠키와 세션  (0) 2023.08.08
CORS 란?  (0) 2023.08.06
HTTP Method  (0) 2023.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