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RT [ TIL ] [ TCP/IP ]

2023. 6. 15. 18:02TIL&WIL/TIL

 

Problem

 

생활코딩 node 책의 쿼리스트링 부분을 보면서 의문이 들었다.

그래서 포트가 뭔데? 라는 질문이 떠올랐다.


Try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에서 포트(port)는 운영 체제 통신의 종단점이다. 이 용어는 하드웨어 장치에도 사용되지만, 소프트웨어에서는 네트워크 서비스나 특정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논리 단위이다. 주로 포트를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전송 계층 프로토콜이라 하며, 예를 들어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와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가 있다. 각 포트는 번호로 구별되며 이 번호를 포트 번호라고 한다. 포트 번호는 IP 주소와 함께 쓰여 해당하는 프로토콜에 의해 사용된다.
- wikipedia -

 

이걸로는 다 이해할 수 없었다. 왜 mdn 이고 wiki 고 찾아보면 한번에 이해가 안되는 건지 모르겠다.

 

다음 방법은 "이론을 중심으로 한 TCP/IP 이해하기" 라는 책을 조금 찾아보았다.

 

 

다량의 데이터를 발신지에서 목적지 호스트까지 전송하기 위해서는 IP 주소와 물리 주소가 필요하다. 그러나 목적지 호스트에 도착하는 것이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통신의 최종 목표가 아니다. 단지 하나의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은 완전하지 못하다. ...(중략) 
동시에 발생되는 프로세스들을 위해 서로 다른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다시 말해서 주소가 필요하다. TCP/IP 구조에서 프로세스에 할당된 레이블을 포트 주소라고 한다.
- 이론을 중심으로 한 TCP/IP 이해하기 -

 

두 글을 보면 공통된 말이 몇개 있다. 프로세스 식별, IP 주소와 함께 쓰인다는 점.

 

 


Solve

 

글들을 취합하고 여러 블로그 책을 찾아본 결과

포트는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송신자와 수신자 간의 양방향 통신을 위한 가상의 연결을 생성하고,

이 가상의 연결을 송신자와 수신자 간 설정하고 유지하기 위해 컴퓨터는 고유한 포트를 생성한다. 정도로 우선 결론을 내렸다.

 


What I Learned

 

포트에 일면에 대한 것을 배웠다.

양방향 통신, 특정 프로세스 식별.. 이제야 저 위키피디아의 글이 조금은 이해가 되는 것 같다.

TCP/IP 는 깊은 내용이 많은 것 같다. 조금씩 천천히 , 많이 궁금해하며 TCP/IP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해야겠음

 

https://ko.wikipedia.org/wiki/%ED%8F%AC%ED%8A%B8_(%EC%BB%B4%ED%93%A8%ED%84%B0_%EB%84%A4%ED%8A%B8%EC%9B%8C%ED%82%B9) 

 

포트 (컴퓨터 네트워킹)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에서 포트(port)는 운영 체제 통신의 종단점이다. 이 용어는 하드웨어 장치에도 사용되지만, 소프트웨어에서는 네트워크 서비스나 특정

ko.wikipedia.org